굿으로 끝나는 세 글자의 단어: 204개

한 글자:1개 두 글자:57개 🍍세 글자: 204개 네 글자:53개 다섯 글자:38개 여섯 글자 이상:15개 모든 글자:368개

  • 두레굿 : (1)‘풍물놀이’를 달리 이르는 말.
  • 내당굿 : (1)안방이나 대청에서 성주신, 조상신, 삼신에게 먼저 굿을 고하는 절차. (2)안당 앞에 굿상을 차려 놓고 밖에서 떠도는 서낭신, 손님신 따위를 모셔다 놓고 하는 굿.
  • 뜰항굿 : (1)‘홍역’의 방언
  • 광대굿 : (1)농악 십이채 가운데 상쇠의 개인 놀이 가락.
  • 콩노굿 : (1)콩의 꽃.
  • 방틀굿 : (1)땅속으로 곧게 파 내려가 ‘井’ 자 모양으로 만든 방틀을 쌓아 올린 광산 구덩이.
  • 오기굿 : (1)‘오구굿’의 방언
  • 우환굿 : (1)집안에 우환이 있을 때에 하는 굿.
  • 당산굿 : (1)당산에서 마을을 위하여 제사를 지낼 때에, 풍물놀이를 하며 노는 굿.
  • 싯겜굿 : (1)‘씻김굿’의 방언
  • 낙성굿 : (1)집을 다 짓고 나서 하는 굿.
  • 새암굿 : (1)마을의 공동 우물에 물이 잘 나오라고 치성을 드리는 일. 음력 정월 중 수신(水神)이 내려오는 날을 점쳐서 제사를 주관하는 사람 세 명이 한밤중에 우물가에서 드린다. ⇒규범 표기는 ‘샘굿’이다.
  • 오귀굿 : (1)죽은 사람의 넋을 위로하여 극락왕생을 하기를 비는 굿. 대개 죽은 지 한 해나 두 해 뒤에 한다. ⇒규범 표기는 ‘오구굿’이다.
  • 탈복굿 : (1)전라도 풍물놀이 판굿에서, 농악대원 모두가 농악복을 벗으면서 하는 놀이.
  • 기신굿 : (1)동네 사람들이 도당에 모여 그 마을의 수호신에게 복을 비는 굿. 무당이 주재한다는 점이 동신제와 다르다.
  • 우물굿 : (1)마을의 공동 우물에 물이 잘 나오라고 치성을 드리는 일. 음력 정월 중 수신(水神)이 내려오는 날을 점쳐서 제사를 주관하는 사람 세 명이 한밤중에 우물가에서 드린다.
  • 제왕굿 : (1)삼신에게 아기를 낳게 해 달라고 또는 낳은 뒤에 오래 살게 해 달라고 비는 굿.
  • 지신굿 : (1)땅을 다스리는 신령을 위하는 굿.
  • 맞이굿 : (1)‘영고’의 방언
  • 천왕굿 : (1)동해안(東海岸) 지역에서 행하는 별신굿의 한 거리.
  • 전야굿 : (1)기념일의 전날 밤에 하는 굿.
  • 결혼굿 : (1)진도 씻김굿의 하나. 총각과 처녀로 죽은 넋을 달래 준다. 총각의 무덤을 처녀의 무덤 옆으로 옮기거나 서로 합장하여 혼인 시킨 뒤, 그날 밤 총각 집 뜰에 차일을 두 곳에 치고 각각 넋을 씻긴다.
  • 고사굿 : (1)강원도에서 음력 정월에 의식으로 하는 풍물. 풍물패가 집집마다 돌면서 한 해의 복을 빌어 주는 행사로서 경상 지신밟기, 전라 지신밟기에 해당한다.
  • 강낭굿 : (1)풋옥수수를 이삭 껍질째로 쪄 내는 일
  • 방심굿 : (1)지노귀굿 절차의 하나.
  • 허천굿 : (1)하회 별신굿 탈놀이에서, 마지막 날 마을 앞길에 제물을 차려 놓고 하는 굿.
  • 노래굿 : (1)호남(湖南) 풍물놀이에서, 상쇠가 전원을 한 줄로 세워 놓고 진양조장단으로 소리를 하는 과정.
  • 거리굿 : (1)길에서 하는 굿. (2)하회 별신굿 탈놀이에서, 마지막 날 마을 앞길에 제물을 차려 놓고 하는 굿. (3)동해안 별신굿의 맨 마지막 거리. 잡신을 풀어 먹여 보낸다. (4)굿에 모였던 귀신들에게 밥을 주고 경문을 읽어 마지막으로 귀신들을 보내는 굿.
  • 망월굿 : (1)음력 정월 대보름날 달이 떠오를 때에 달집에 불을 지르며 노는 풍속. 달집이 훨훨 타야만 마을이 태평하고 풍년이 든다고 한다. 그해 액운이 든 사람의 저고리 동정이나 동정에 생년월일시를 쓴 종이를 붙여 함께 태우기도 한다.
  • 쪽박굿 : (1)돌림병이 돌 때, 집집마다 마루나 토방에 쪽박을 문질러 그 요란한 소리로 병마를 놀래어 쫓는 굿. 바가지 대신 베 짜는 북을 문지르기도 한다.
  • 사례굿 : (1)굿을 하고 난 후 소원이 이루어졌다 하여 귀신에게 고마운 뜻을 전하려고 하는 굿.
  • 띠배굿 : (1)전라북도 부안군 위도에서 전해 오는 굿. 정월 초사흗날 바닷가 당집에서 마을의 평안과 풍어를 비는 제사를 지내고, 띠로 만든 배에 허수아비를 실어 보내 묵은해의 불행한 운수를 씻어 낸다.
  • 퇴송굿 : (1)뒷전풀이로 하는 굿.
  • 장진굿 : (1)호남 풍물놀이 가운데 문굿의 첫째 거리. 휘모리장단에 맞추어 농기(農旗), 태평소, 영기(領旗), 상쇠, 부쇠, 종쇠, 장구, 소고, 잡색(雜色) 따위가 한 줄로 들어와 상쇠의 지휘에 따라 함께 인사를 한다.
  • 물롱굿 : (1)‘무릇’의 방언
  • 예배 굿 : (1)신이나 조상 등에 대하여 경배를 나타내는 의식으로서의 굿.
  • 축원굿 : (1)하는 일이 잘되게 하여 달라고 신에게 비는 굿.
  • 풍류굿 : (1)호남 지방의 풍물놀이에 쓰이는 장단의 하나.
  • 부정굿 : (1)무당굿의 열두 거리 가운데 첫째 거리. 신들을 청하기 전에 부정한 것을 깨끗이 하는 것을 이른다.
  • 두린굿 : (1)제주에서, 미친 증세를 낫게 하려고 베푸는 굿.
  • 천도굿 : (1)죽은 사람의 넋을 극락으로 보내는 굿.
  • 군웅굿 : (1)별신굿에서, 무녀가 놋동이를 입에 물고 장군신을 모시는 굿.
  • 불사굿 : (1)무당의 열두 거리 굿 가운데 하나. 제석신을 받들기 위하여 하는 굿으로 불교적 색채가 강하다.
  • 마당굿 : (1)대문 밖 마당에서, 굿에 모여들었던 귀신들을 보내는 마지막의 굿.
  • 앉은굿 : (1)장구를 치지 아니하고, 춤도 추지 아니하면서 하는 굿의 하나.
  • 쌍진굿 : (1)농악 십이채 가운데, 두 진으로 나누어 치는 가락. 또는 그 가락에 맞추어 취하는 동작.
  • 새남굿 : (1)서울 지역에서, 죽은 사람의 넋을 극락으로 인도하기 위해 하는 굿.
  • 불찍굿 : (1)제주에서, 불을 내는 귀신을 물리치고 복을 빌려고 베푸는 굿.
  • 얼림굿 : (1)풍물놀이 판굿에서 원형으로 행진하는 춤.
  • 장승굿 : (1)장승에게 마을의 안녕이나 풍농을 기원하기 위하여 비는 굿.
  • 수륙굿 : (1)물과 육지의 홀로 떠도는 귀신들과 아귀(餓鬼)에게 공양하는 재.
  • 사자굿 : (1)죽은 사람을 극락으로 잘 보내 달라고 저승사자에게 비는 굿.
  • 입춘굿 : (1)제주도에서 입춘을 맞아 행하는 굿. 관청에서 주관하던 행사로 무당들이 모여 농사짓는 과정을 흉내를 내면서 풍년을 기원한다.
  • 병신굿 : (1)병신이나 다름없는 못난 짓.
  • 영산굿 : (1)농악 십이채 가운데 현악 영산회상곡의 한 가락.
  • 무당굿 : (1)무당이 주관하여 벌이는 굿.
  • 대동굿 : (1)황해도의 해주, 옹진, 연평도 지역과 평안도 지역에서 성행하였던 마을굿. 지역 수호신인 당신(堂神)에게 마을의 평안과 생업의 번창을 기원하는 굿으로, 서해안 일대에서 행해지는 풍어제와 유사하다.
  • 성문굿 : (1)호남 풍물놀이에서, 상쇠가 문잡는굿의 두 줄로 된 대형에서 한 사람씩 차례로 영기를 돌아 모두 데리고 나오는 놀이.
  • 연등굿 : (1)음력 설날에서 정월 대보름날 사이에 제주에서 행하는 풍속의 하나. 신들을 즐겁게 할 목적으로 장대 끝에 채색 비단으로 말 머리 모양을 만들고 밤에 등불을 달고 돌아다닌다.
  • 화해굿 : (1)동해안 별신굿 굿거리의 하나. 각 마을의 신이 만나서 화해한다는 뜻을 지닌다.
  • 성주굿 : (1)집의 수호신으로 성주를 새로 모시는 굿. 집을 새로 짓거나 이사를 한 뒤 또는 남자 주인인 대주(大主)의 나이가 17세, 27세, 37세 따위와 같이 7 자가 되는 해의 10월에 날을 가려 한다. ⇒규범 표기는 ‘성줏굿’이다.
  • 혼례굿 : (1)총각과 처녀로 죽은 혼백을 달래려고 그 영혼들의 혼례를 올려 주는 굿.
  • 노랫굿 : (1)노래를 부르며 하는 굿.
  • 씨름굿 : (1)씨름판에서 벌어진 씨름을 구경거리로 이르는 말.
  • 범탈굿 : (1)동해안 별신굿에서 행하는 굿의 하나. 범한테 물려 죽은 사람의 영혼을 위로하고 호환을 예방하기 위하여 하는 굿으로, 무당들이 범의 탈을 쓰고 나와 춤추고 논다.
  • 물렁굿 : (1)‘무릇’의 방언
  • 전체굿 : (1)‘까닭’의 방언
  • 난장굿 : (1)병신을 가장하여 서민들의 애환을 나타내던 굿.
  • 우마굿 : (1)소나 말이 잘 자라게 해 달라고 비는 굿.
  • 경사굿 : (1)집안에 재수가 형통하기를 비는 굿. (2)진도 씻김굿의 하나. 조상의 비를 세울 때 그 넋이 영화를 누리라고 행한다. (3)진도 씻김굿의 하나. 집안에 경사가 있을 때 조상 모두에게 조상의 은덕이라고 행한다.
  • 걸립굿 : (1)마을의 공동 기금이 필요할 때, 걸립패들이 돈과 곡식을 거두면서 노는 굿. 대개 문굿, 들당산굿, 샘굿, 집돌이, 날당산굿의 순서로 되어 있다. (2)무당굿 열두 거리의 하나. 무당이 걸립신을 위해 하는 굿이다. (3)무당이 단골집이나 일반 가정을 상대로 쌀이나 돈을 얻으려고 돌아다니며 하는 굿. 제사를 지낼 때 무당이 계면굿을 하는 경우에는 집주인의 행운과 태평을 빈다.
  • 산대굿 : (1)산대놀음에 하는 굿.
  • 망자굿 : (1)죽은 사람을 극락으로 인도하기 위하여 하는 굿.
  • 타살굿 : (1)돼지나 소를 잡아 제물(祭物)로 바치는 굿.
  • 하당굿 : (1)은산 별신제 절차의 하나. 상당의 강신굿에 이어 하당에 제상을 차리고 하는 굿이다.
  • 시무굿 : (1)죽은 사람을 극락으로 잘 보내 달라고 저승사자에게 비는 굿.
  • 오구굿 : (1)죽은 사람의 넋을 위로하여 극락왕생을 하기를 비는 굿. 대개 죽은 지 한 해나 두 해 뒤에 한다.
  • 풍물굿 : (1)풍물놀이와 함께 하는 굿.
  • 영등굿 : (1)음력 2월에 제주에서 영등할머니에게 올리는 당굿. 음력 2월 초하루에서 보름 사이에 해녀와 어부를 위하여 베풀어진다.
  • 선창굿 : (1)어부들이 정월에 올리는 축원굿.
  • 장수굿 : (1)별신굿에서, 무녀가 놋동이를 입에 물고 장군신을 모시는 굿.
  • 좌도굿 : (1)전라도 동부 산간 지방의 풍물놀이. 경상도의 것과 비슷하며, 개인의 장기(長技)에 치중하는 것이 특색이다.
  • 운봉굿 : (1)농악 십이채 가운데 일곱째인 상쇠의 윗놀음. 또는 그 윗놀음에 쓰는 가락.
  • 절궁굿 : (1)음력 정월에 풍물을 치면서 행하던 놀이의 하나. 구성은 마당밟이와 비슷하다.
  • 허튼굿 : (1)농악 십이채 판굿의 하나. 치배들이 사방으로 흩어지며 풍물놀이를 한다.
  • 산신굿 : (1)무당이 산신에게 올리는 굿.
  • 요왕굿 : (1)‘용왕굿’의 방언
  • 파지굿 : (1)가산 오광대에서, 마지막에 관중과 함께 어울려 하는 굿.
  • 씻김굿 : (1)죽은 이의 영혼을 깨끗이 씻어 주어 이승에서 맺힌 원한을 풀고 극락왕생하기를 비는 굿을 통틀어 이르는 말.
  • 천신굿 : (1)무당이 가을이나 봄에 몸주에게 올리는 굿.
  • 삼신굿 : (1)씻김굿의 셋째 거리. 삼신상을 차려 놓고 제왕 풀이를 소리 내어 외운다. (2)삼신에게 아기를 낳게 해 달라고 또는 낳은 뒤에 오래 살게 해 달라고 비는 굿.
  • 진혼굿 : (1)죽은 사람의 넋을 달래어 위로하기 위한 굿.
  • 삼차굿 : (1)농악 십이채 가락의 한 장단. 칠차굿보다 빠른 장단이다.
  • 칠차굿 : (1)농악 십이채 가운데 일곱째인 상쇠의 윗놀음. 또는 그 윗놀음에 쓰는 가락.
  • 여탐굿 : (1)집안에 경사가 있을 때 먼저 조상에게 아뢰는 굿.
  • 구눙굿 : (1)구눙을 위하는 굿. (2)별신굿에서, 무녀가 놋동이를 입에 물고 장군신을 모시는 굿.
  • 누운굿 : (1)광산이나 탄광에서, 수평으로 파 들어간 갱도.
  • 호호굿 : (1)전라우도 풍물놀이 판굿이나 농악 십이채에서 “호호” 하고 구호를 부르며 치는 가락. 또는 그 가락에 맞춰 하는 놀이.
  • 조상굿 : (1)조상을 위하여 무당을 시켜 하는 굿. 다리굿에서는 죽은 가족을 다 모시고, 별신굿에서는 마을의 조상을 다 모신다.
  • 도당굿 : (1)동네 사람들이 도당에 모여 그 마을의 수호신에게 복을 비는 굿. 무당이 주재한다는 점이 동신제와 다르다.
2 3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41개) : 가, 각, 간, 갇, 갈, 갉, 갏, 감, 갑, 값, 갓, 강, 갖, 갗, 개, 객, 갠, 갤, 갬, 갭, 갱, 갸, 갹, 걈, 걍, 걔, 걘, 거, 건, 걸, 검, 겁, 겂, 것, 겄, 겇, 겉, 게, 겍, 겐, 겔, 겝, 겟, 겠, 겡, 겥, 겨, 격, 견, 겯, 결, 겸, 겹, 겻, 경, 겿, 곁, 계, 고, 곡, 곤, 곧, 골, 곬, 곰, 곱, 곳, 공, 곶, 곷, 곻, 과, 곽, 관, 괄, 괌, 광, 괘, 괙, 괜, 괠, 괨, 괭, 괴, 괵, 괼, 굄, 굉, 교, 굠, 굥, 구, 국, 굮, 군, 굳, 굴, 굼, 굽, 굿 ...

실전 끝말 잇기

굿으로 시작하는 단어 (99개) : 굿, 굿갈리다, 굿감독, 굿거, 굿거리, 굿거리가락, 굿거리굿, 굿거리 시조, 굿거리장단, 굿거리춤, 굿 거버넌스, 굿것, 굿게, 굿 구경 간 어미 기다리듯, 굿 구경을 하려면 계면떡이 나오도록, 굿극, 굿길, 굿 나이트, 굿 나잇, 굿놀음, 굿 놀이, 굿단두리, 굿단속, 굿단속하다, 굿당, 굿덕대, 굿도 볼 겸 떡도 먹을 겸, 굿돌, 굿 뒤에 날장구[쌍장구] (친다), 굿 들은 무당 재 들은 중 ...
굿으로 시작하는 단어는 99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굿으로 끝나는 세 글자 단어는 204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